3) 베포타스틴 속방형 제제의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3,7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 결과 유해사례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1.8%(68명/3,717명, 80건)로 보고되었습니다. 졸음 1.26%(47명/3,717명, 47건), 갈증 0.30%(11명/3,717명, 11건), 복부불쾌 0.27%(10명/3,717명, 10건), 권태 0.11%(4명/3,717명, 4건), 얼굴부종 0.05%(2명/3,717명, 2건), SGOT 상승, SGPT 상승, 두통, 두근거림, 얼굴홍조, 쓴맛 각 0.03%(1명/3,717명, 1건)순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유해사례인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1.4%(52명/3,717명, 62건)로 보고되었습니다. 졸음 1.13%(42명/3,717명, 42건), 갈증 0.24%(9명/3,717명, 9건), 복부불쾌 0.11%(4명/3,717명, 4건), 권태 0.08%(3명/3,717명, 3건), 얼굴홍조, SGOT 상승, SGPT 상승 각각 0.03%(1명/3,717명, 1 건)이었습니다. 국내 시판 후 조사기간 동안 발생한 예상하지 못한 유해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0.13%(5명/3,717명, 5건)이었으며, 얼굴부 종 0.05%(2명/3,717명, 2건), 두근거림, 얼굴홍조, 쓴맛 각각 0.03%(1명/3,717명, 1건)로 보고되었습니다.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유해 사례인 약물유해반응으로 얼굴홍조 1건이 보고되었습니다. 국내 시판 후 조사기간 동안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 재심사에 따른 국내 시판 후 조사결과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4년 동안 1,2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 결과,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5.28%(66/1,251명, 총 85건)로 보고되었다. 이중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발현 빈도에 따라 아래 표에 나열하였으며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① 다년성 알레르기성 비염
|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0.54%(2/370명, 2건) |
흔하지 않게 (≥0.1%이고 <1%) |
각종 신경계 장애 |
감각 저하 |
손상, 중독 및 시술 합병증 | 타박상 |
② 만성 두드러기, 피부질환에 수반된 소양증(습진, 피부염, 피부소양증, 양진)
|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1.36%(12/881, 12건) |
흔하지 않게 (≥0.1% 이고 <1%)
|
각종 신경계 장애 |
진전 |
각종 위장관 장애 |
변비 |
감염 및 기생충 감염 |
모낭염 |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 병태 |
말초 부종, 전신부종 |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
홍반, 소양증 |
신장 및 요로 장애 |
빈뇨 |
각종 혈관 장애 |
말초 냉감 |
4. 일반적 주의
1) 졸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 약 투여중의 환자에게는 자동차 운전 등 위험을 수반하는 기계조작 등에 대해 주의시켜야 합니다.
2) 장기간스테로이드요법을 받고 있던 환자로, 이 약을 투여함에 따라 스테로이드제를 감량할 경우에는 충분한 관리하에서 서서히 합니다.
3) 신장애환자에서 이약의 혈중농도를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높은 혈중농도가 지속될 우려가 있으므로 저용량(즉, 1회량 5밀리그람)부터 투
여하는 등, 신중히 투여하고, 이상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감량, 휴약등의 적절한 처치가 필요합니다.
4) 이 약은 계절성 알러지성 비염환자에 대하여 연구되지 않은바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투여하는 경우에는 자주 발생하는 계절을 고려하여
그 직전부터 투여를 개시하고, 호발하는 계절 종료 시까지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5) 이 약의 사용에 의해 효과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장기간 투여하지 않습니다.
5. 상호작용
다른 항히스타민제와 마찬가지로 과량의 알코올과 병용 투여하지 않습니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중 투여에 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동물실험에서 태아로 이행됨이 발견되고 있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 게는 투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투여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합니다.
2) 동물실험(랫트)에서 모유 중으로 이행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수유중인 부인에게는 투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득이하게 이 약을 투
여할 경우에는 수유를 피하도록 합니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습니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이 약은 주로 신장으로 배설되며,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높은 혈중농도가 지속될 위험이 있어 이 약을 고령자에게
사용할 경우 주의하여 투여합니다.
9. 임상검사치에의 영향
이약은알레르겐피내반응을억제하여알레르겐확인에지장을줄수있으므로피내반응검사실시전에이약을투약하지않는것이바람직합니다.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합니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합니다.
11.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약리작용
이 약은 히스타민 H1 수용체의 선택적 길항 효과를 가지는 2세대 항히스타민제입니다. 염증부위의 호산구 침윤 억제 및 IL-4 생성 억제 작용을 나타내며, 1세대 항히스타민제와 비교시 H1 수용체에 더 선택적이고 혈액뇌관문 통과가 낮아 상대적으로 진정작용이 덜합니다.
2) 약동학적 정보
1베포타스틴 서방형 제제인 이 약(베포타스틴살리실산염으로서 19.28mg)을 1일 1회 투여 및 베포타스틴 속방형 제제(베포타스틴베실산염으로서 10mg)를 1일 2
회 투여한 후 베포타스틴의 생체이용율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생물약제학 시험이 수행되었습니다. 3×6 교차시험으로 건강한 성인에게 공복시 단회 경구투여 하여 혈중 베포타스틴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비교평가 항목치(AUClast와 Cmax)를 로그변환하여 통계처리하였을 때, AUClast의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은 생 물학적동등성 범위 내에 있었으나, Cmax의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의 하한은 생물학적동등성 기준범위 이내이나, 상한은 기준범위를 다소 초과하였습니다.
2 전항과 동일한 시험에서, 베포타스틴 서방형 제제를 공복 및 식후에 각각 단회 투여한 결과, 비교평가 항목치(AUClast와 Cmax)를 로그변환하 여 통계처리하였을 때, AUClast의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은 생물학적동등성 범위 내에 있었으나, Cmax의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의 하한은 생물학적동등성 기준범위 이내이나, 상한은 기준범위를 다소 초과하였습니다.
3 베포타스틴 서방형 제제인 이 약(베포타스틴살리실산염으로서 19.28mg)을 1일 1회 4일간 반복투여 및 베포타스틴 속방형 제제(베포타스틴베 실산염으로서 10mg)를 1일 2회 4일간 반복투여한 후 베포타스틴의 생체이용율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생물약제학 시험이 수행되었다. 2×2 교차시험으로 건강한 성인에게 공복시 단회 경구투여하여 혈중 베포타스틴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비교평가 항목치(AUCτ와 Cmax, ss)를 로 그변환하여 통계처리하였을 때,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이 모두 생물학적동등성 범위 내에 있었습니다.
3) 임상시험 정보
(1)이 약의 유효성과 안전성은 다년성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 대조 임상시험에서 평가되었습니다.
시험대상자에게 위약 도입기(placebo run-in) 동안 위약을 1일 1회 1주간 투여 후 다년성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은 환자 272 명이 무작위배정(시험군: 134명, 위약군: 138명)되어 이 약(베포타스틴 서방형 제제, 베포타스틴살리실산염으로서 19.28mg) 또는 위약을 투여받 았습니다. 시험약 혹은 위약을 1일 1회 4주간 투여한 이후 다년성 알레르기성 비염에 대한 증상 조절 효과 및 안전성을 비교 평가하였습니다. 일차 유효성 평가 변수인 기저치 대비 4주 후 보정된 반영적총비증상점수(reflective TNSS) 변화량은 시험군에서 -2.60±0.20점, 위약군에서 -1.84±0.19점으로, 시험군이 위약군에 비해 보정된 reflective TNSS 변화량이 더 컸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67).
[기저치에서의 reflective TNSS를 공변량으로 보정한 공분산분석(ANCOVA) 결과 기저치 대비 4주 후 reflective TNSS 변화량]